1.
빈과 베네치아, 베로나를 거쳐 피렌체에 도착했다. 다만 한국과의 원활한 연락 수단이 없다는 것이 좀 불편할 뿐 몸과 마음 모두 최적의 상태다. 베네치아와 베로나에서 베로니즈와 틴토레토, 조르다노의 작품을 아쉬움 없이 실컷 즐겼다. 허공에 떠 있는 패널과 마모된 프레스코화 앞에서 아무의 방해도 없이 원래의 색과 형태를 상상해가며 보내는 시간이 꿈같지 않다면 무엇이 꿈일까?
꽃의 도시라는 별칭답게 피렌체는 압도적인 화려함을 자랑한다. 하지만 내 정서에는 베로나에서 느꼈던 아름다움만 못하다. 수많은 관광객들로 붐비는 이곳보다는 한 눈에 들어오는 잘 구획된 도시를 감상하는 것과 번잡한 인파의 물결에 휩쓸리는 일 없이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는 편이 더 만족스럽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베로나는 나에게 대가들의 명작들이 태어난 토양에 대한 의문을 확실하게 풀어주었다. 같은 모티프가 어떻게 변주되었냐를 찾아보는 여행도 나쁘지 않다. 수많은 작품들 가운데 명작이 왜 명작인지 제대로 이해하고 여러번 감상하는 것이 많은 그림을 보는 것보다 중요하다는 말에는 충분히 동의한다. 하지만 때로는 명작이 아닌 범작들로 부터 더 많은 것들을 배울 수도 있다.
2.
다른 것은 몰라도 변신 이야기과 그리스-로마 신화만큼은 플루타르크의 영웅전만큼이나 정통하다고 자부하던 내 자만심은 팔라조 메디치 리카르디에 존재하는 조르다노의 방에서 과거가 되고 말았다. 20분을 감상해도 모두지 무엇을 그린 것인지 알 수 없는 몇몇 이미지 앞에서 좌절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내 앎의 부족의 때문이 아니라 무거운 내 목 탓이다.
3.
He went to the gallery of Uffizi & he thought that the National gallery is just small drawing room. Besides, he saw the Venus of Urbino & Dog of Molossus & etc which had been hoped to be seen by him. Moreover he realised that he could read some italian historical terms. Anyway after spending 9H in the museum, he came back accomodation & he fell a sleep. I think he see a great deal of appreciating meanings of shadow about some sculptures& paintings what are unquestionably great. I don’t get on well with him, but think that he is…
4.
아침에 일어나보니 하늘은 비가 올 듯 찌푸려 있고 블로그에는 국적 불명의 첨언이 달려있다. 뭐 이것도 나름대로 나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은 한니발에서 렉터가 한 사내를 목매달았던 피치궁에 갈 예정이다. 예쁜 건물에 걸려있는 처형된 시신들을 상상하는 내 취미가 조잡할지라도 그 나름의 재미가 아닐까 싶다.
5.
사실 이렇게 일상을 기록하는 이유는 집에 전화할 시간이 좀처럼 나지 않기 때문이고, 국제전화의 경우 비용에 비해 전달할 수 있는 정보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내 형제들의 특성상 한 사람쯤은 이 글을 읽어줄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난 살 잘고 있노라고 목청을 울려 보는 것이다. 하지만 홀로 떠나는 여행은 분명 외롭다. 낯선 여행지에 만난 이국 여인과 동행하는 행운이 가끔 찾아오기는 해도 여행이 가져다 주는 모든 상념을 나눌 친구의 존재가 항상 그립다. 아니 감탄사를 공유할 지인의 부재가 가장 치명적인 것인 문제인지도 모르겠다. 어찌 되었던 피사에도 다녀왔고 피렌체의 거리에도 슬슬 익숙해지고 있다. ‘냉정과 열정사이’에 끌려 이곳을 찾는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듣는 ‘곤니지와’란 인사가 거북살스럽긴 해도 낯선 도시의 이방인이 되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